본문 바로가기

K2C와 K2C1 심층 분석 / K2C vs K2C1 소총 비교 / K2 소총의 현대적 변신

독거청년 2025. 3. 26.
반응형

k2c소총 사격 사진(위), k2c1소총 사격 사진(아래)
섬네일

 

K2C와 K2C1 개요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소총인 K21984년 제식 채택 이후 오랜 기간 동안 국군 장병들의 충실한 파트너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전장의 양상이 달라짐에 따라, K2 소총 역시 현대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바로 K2CK2C1 소총입니다.

 

이 두 모델은 K2 소총의 핵심적인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현대 전장에서 요구되는 성능과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진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K2C 카빈 소총 - 휴대성과 근접 전투 능력을 극대화한 카빈

snt홈페이지 K2C 카빈 소총 홍보 자료
출처 : snt홈페이지

K2C 소총은 K2 소총을 기반으로 개발된 단축형 모델입니다.

 

'C''카빈(Carbine)'을 의미하며, 주로 해외 수출 시장을 겨냥하여 개발되었지만, 국내에서도 일부 특수 부대 등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K2C의 가장 큰 특징은 짧아진 총열과 그로 인한 뛰어난 휴대성과 기동성입니다.

 

좁은 공간이나 차량 내부, 도심 지역 전투와 같이 신속한 움직임과 빠른 조준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K2C는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K2C 소총 제원

구경 : 5.56x45mm NATO

작동 방식 : 가스 작동식, 롱 스트로크 피스톤

탄창 : 30STANAG 탄창

발사 속도 : 분당 750~900(K2와 유사)

총구 속도 : 800~850m/s (총열 길이 감소로 K2보다 약간 낮음)

유효 사거리 : 300~400m (총열 길이 감소로 K2보다 짧음)

총열 길이 : 310mm (12.2인치)

전체 길이 : 약 875mm (개머리판 펼침), 630mm (개머리판 접힘)

무게 : 3.3kg (탄창 제외, K2보다 약간 가벼움)

사격 모드 : 안전, 단발, 자동 (수출형에 따라 3점사 기능 유무 상이)

 

 

 

 

K2C1 소총

snt홈페이지 K2C1 소총 홍보 자료
출처 : snt홈페이지

K2C1 소총은 대한민국 육군의 현대화 요구에 맞춰 개발된 K2 소총의 최신 개량형입니다.

 

2014년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2017년부터 전방 부대를 중심으로 보급이 시작된 K2C1은 기존 K2 소총의 단점을 개선하고 현대 전장에서 필수적인 기능들을 대폭 강화했습니다.

 

 

K2C1 소총 제원

구경 : 5.56x45mm NATO

작동 방식 : 가스 작동식, 롱 스트로크 피스톤

탄창 : 30STANAG 탄창

발사 속도 : 분당 750~900(K2와 동일)

총구 속도 : 920m/s (K2와 동일)

유효 사거리 : 460m (점 목표), 600m (지역 목표) (K2와 동일)

총열 길이 : 465mm (18.3인치) (K2와 동일)

전체 길이 : 890~980mm (5단계 조절 가능), 680mm (개머리판 접힘)

무게 : 3.8kg (탄창 제외, 피카티니 레일 등으로 인해 K2보다 약간 무거움)

사격 모드 : 안전, 단발, 3점사, 자동 (K2와 동일)

 

 

 

 

K2C1 소총의 주요 특징 및 성능 향상

피카티니 레일 통합

- 총열덮개 상부에 MIL-STD-1913 규격의 피카티니 레일을 통합하여 다양한 광학 조준경 (레드 도트 사이트, 스코프 등), 야간 투시경, 열상 감지 장비, 전술 조명, 레이저 표적 지시기 등을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레일에는 식별을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장비 장착 위치를 쉽게 기억하고 재현할 수 있습니다.

 

개량된 총열덮개

- 기존 K2 소총의 짧고 불편했던 총열덮개를 교체하여 파지감을 개선했습니다.

- 측면과 하부에는 기본 레일이 제거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한 레일 섹션을 추가하여 수직 손잡이 등 특정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초기에는 M-LOK 또는 KeyMod 방식의 레일 시스템 도입에 대한 기대도 있었으나, 현재는 나사산 방식의 탈착 레일이 적용되었습니다.

 

탈부착식 가늠쇠

- 광학 장비 사용 시 기존 고정식 가늠쇠가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탈부착식 가늠쇠를 채택했습니다.

- 이를 통해 광학 장비 사용 시 더욱 넓고 깨끗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5단계 조절식 개머리판

- 사수의 체격이나 전술 상황에 맞춰 개머리판 길이를 5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격 자세의 안정성과 편안함을 향상시켰습니다.

- 특히 방탄복 착용 시에도 적절한 개머리판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실전적인 운용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 개머리판은 측면으로 접을 수 있어 휴대성 또한 우수합니다.

 

발열 문제 해결 노력

- 알루미늄 재질의 총열덮개에서 발생하는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방 손잡이, 방열덮개 등 다양한 액세서리가 추가적으로 보급될 예정입니다.

- 특히 엎드려 쏴 자세나 포복 등 진지 사격 빈도가 높은 부대에는 방열덮개가, 수색 정찰 임무가 잦은 부대에는 수직 손잡이가 중점적으로 지급될 계획입니다.

 

 

 

 

K2C vs K2C1 소총 비교

특징 (Feature) K2C 소총 K2C1 소총
목적(Purpose) 휴대성 및 근접 전투 능력 극대화 ◦ K2 소총 현대화 및 전장 환경 적응력 향상
주요 용도(Main Use) ◦ 해외 수출
국내 일부 특수 부대 (제한적 사용)
◦ 대한민국 국군 전방 부대
구경(Caliber) ◦ 5.56x45mm NATO ◦ 5.56x45mm NATO
작동 방식(Operation) ◦ 가스 작동식 
롱 스트로크 피스톤
◦ 가스 작동식
롱 스트로크 피스톤
탄창 용량(Magazine Capacity) ◦ 30STANAG 탄창 ◦ 30STANAG 탄창
발사 속도(Rate of Fire) ◦ 분당 750~900(K2와 유사) ◦ 분당 750~900(K2와 동일)
총구 속도(Muzzle Velocity) ◦ 약 800~850m/s (K2보다 약간 낮음) ◦ 약 920m/s (K2와 동일)
유효 사거리(Effective Range) ◦ 약 300~400m (K2보다 짧음) ◦ 460m (점 목표)
◦ 600m (
지역 목표) (K2와 동일)
총열 길이(Barrel Length) ◦ 약 310mm (12.2인치) ◦ 약 465mm (18.3인치) (K2와 동일)
전체 길이(Overall Length) ◦ 약 777mm~875mm (펼침)
약 630mm (접힘)
◦ 890~980mm (펼침, 5단계 조절)
◦ 680mm (
접힘)
무게(Weight) ◦ 약 3.3kg (탄창 제외) 
◦ K2
보다 약간 가벼움
◦ 약 3.8kg (탄창 제외) 
◦ K2
보다 약간 무거움
사격 모드(Fire Modes) ◦ 안전, 단발, 자동
수출형에 따라 3점사 유무 상이
◦ 안전, 단발, 3점사, 자동 (K2와 동일)
주요 특징(Key Features) ◦ 짧은 총열 
뛰어난 휴대성 및 기동성
◦ 피카티니 레일
탈부착식 가늠쇠
조절식 개머리판
개량된 총열덮개
주요 사용자(Intended Users) ◦ 해외 군/
국내 일부 특수 부대 (추정)
◦ 대한민국 국군 전방 부대

 

 

 

 

K2C1 소총의 현재 상황

K2C1 소총은 현재 전방 전투 부대를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보급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부대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또한, 육군에서는 K2C1 소총에 조준경을 장착하여 보병 분대 내 저격수 역할을 수행하는 방안을 시범적으로 운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분대 전투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결론

K2CK2C1 소총은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소총인 K2의 현대적인 진화를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K2C는 휴대성과 기동성을 극대화하여 특수 작전 환경에 적합하며, K2C1은 피카티니 레일, 조절식 개머리판 등 현대 전장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여 보병 전투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K2 소총은 끊임없는 발전을 통해 대한민국 국군의 핵심 전력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할 것입니다.

 

 

대한민국 제식소총 K1 vs K2 전격 비교 성능, 제원, 장단점, 그리고 차세대 소총 요구 조건

대한민국 국군을 대표하는 제식 소총 K1과 K2. 오랫동안 국군의 주력 화기로 활약해 온 두 소총의 성능과 제원을 비교 분석하고, 각각의 장단점과 생산 단가, 유지 보수 관련 정보를 심층적으로

mandpuppy.tistory.com

 

 

대한민국 국군 국산 장비 목록 / 대한민국 자체 무기 목록

개요대한민국에서 자체 개발한 장비를 열거한 목록입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특징• 대부분 K (Korea) 시리즈 명칭을 사용합니다. • 자체 개발, 외국 무기 카피, 면허 생

mandpupp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