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걸리는 강아지 피부병 종류 및 요약
반응형
반려동물 강아지
반려동물 1000만 시대의 대한민국에서 강아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반려동물의 75%정도라고 할 정도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모든 반려견 보호자들은 자신이 키우고 있는 강아지가 아프지않고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사람도 늘 건강할수 없듯 강아지 역시 각종 질병에 시달리게 됩니다.
강아지 피부질환 요약
특히 자주걸리는 질병으로 피부와 관련된 질병이 대표적인데 본 포스팅에서 간단하게 강아지에게 자주 생기는 피부관련 질환을 표로 정리해서 발병 원인과 증상. 특징에 대해서 정리해 봤습니다.
정리한 질환의경우 비교적 강아지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위주로 정리했고 이 외에도 많은 피부병들이 있다는점 알아두세요.
피부병 | 발병 원인 | 질병 증상 | 특 징 | |
아토피성 피부염 |
•지저분한 주변 환경 •알레르기 물질에 노출 •과도한 면역 반응 |
•심한 가려움 •피부 짓무르거나 악건조 •피부 목질화 •만성 염증 |
•알레르기 관련 염증성 만성 피부질환 •2차 감염 발생 우려 |
|
알레 르기 |
식품 | •고기, 달걀, 유제품, 곡물, 식품첨가물 등의 섭식으로 발생 •대부분 단백질, 알러젠으로 발병 |
•심한 가려움 •탈모 •상처 부위 딱지 발생 •간혹 고열, 설사, 구토 발생 |
•알레르기 유발 항원을 차단해야 함 |
접 촉성 |
•약품, 침구, 의류, 생활물건 등의 다양한 물건의 접촉으로 발생 | •가려움 •탈모 •상처 부위 딱지 발생 •각질 발생 |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제품의 접촉을 차단 | |
벼룩 | •강아지 피부에 벼룩 기생 •평소 생활 환경에 벼룩 |
•심한 가려움 •탈모 •상처 부위 딱지 발생 •피부질환 및 빈혈, 발진 발생 |
•기생 또는 서식하는 벼룩 퇴치 및 2차 감염 치료 | |
쿠싱 증후군 |
•부신에 종양 발생 •코르티솔 과다 분비 •스테로이드성분 약품 장기간 사용 •뇌하수체 종양 발생 등 |
•좌우대칭 탈모가 특징 •과식, 과음, 다뇨, 피부색 변화 •평소 호흡 가빠짐 •배가 올챙이처럼 볼록해짐 •세균, 곰팡이 감염 등의 만성 피부병 발생 |
•조기 발견 치료가 중요 •방치하면 다양한 합병증 발생 |
|
갑상선 기능 저하증 |
•갑상선 호르몬이 줄어들어 발생 •갑상선 염증, 파괴, 유전 • 뇌하수체 종양 발생 |
•식욕부진, 체중증가 •털이 가늘어지고 탈모 발생 •중성화되지 않은 개체는 암수 모두 불임 가능 •피부 건조 증상 |
•호르몬 계 질환으로 예방 불가능 | |
강아지 모낭충 |
•모낭충 감염으로 피부질환 발생 •넓은 범위에 발생해서 치료 기간 •오래 걸리고 재발확률 높음 |
•심한 가려움 •전신 질환 •심각한 탈모 발생 •세균감염에 의한 화농, 피부 짓무름 |
•높은 전염성 •대부분 강아지에게 모낭충 관찰 •면역력 저하 시 발병 (특히 노견의 경우 자주 발생) |
|
강아지 지루증 |
•영향 불균형 •피지샘 문제 •호르몬 변화 •기생충 및 세균감염 |
•가려움 발생 가능 •몸 전체가 기름지고 끈적거리거나 건조해짐 •비듬 각질 발생 •심각한 냄새, 탈모 발생 •각종 세균감염 발생 |
•대표적 영향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피부염 •균형 잡힌 식단 제공 |
|
강아지 농피증 |
•세균성 질환 •표재성 농피증, 심부성 농피증 |
•화농 발생 •심각한 가려움 •전신 발병 •얼굴, 사타구니, 발가락 사이 자주 발생 •불스아이(Bull’s Eye)증상 |
•약용샴푸, 항생제 투여 •심부성 농피증은 합병증을 유발 가능 •정확한 진단이 우선 |
|
강아지 개선 충 증 |
•진드기가 피부 속 기생, 산란, 배설 •초소형 옴벌레의 기생으로 발생 |
•밤에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가려움증 •발꿈치, 귀 등에 탈모 발생 •염증 발생 •피부가 목질화 및 비듬, 각질 발생 •전신 질환으로 확대 |
•진드기 구제약을 통해 치료 •전신 털을 제거 •강한 전염 역으로 접촉 동물 모두 검사 |
|
피부 사상균증 (림 웜) |
•곰팡이균(진균)에 의해 발생 •전염성 높음 |
•심한 가려움 •원형 탈모 •긁는 행동으로 상처, 딱지, 각질 발생 •결정성 증상 발생(감염 부위 볼록해짐) |
•강한 전염력 •인수공통 감염병 •사람에게 전염 시 백선으로 발병 |
|
효모균 감염증 |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병 •잦은 목욕, 지저분한 환경에서 발생 |
•가려움 발생 •진물 발생 •귓속 내이염으로 발병 많음 |
•사람으로 치면 무좀균처럼 대부분 강아지에게 효모균 보유 |
반응형
'반려견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 여름철 보양식 (0) | 2023.07.04 |
---|---|
반려견 사료 고르는 기준(글루텐 프리) (0) | 2023.06.27 |
강아지 유박비료 - 너무너무 위험합니다! (0) | 2023.06.14 |
강아지 파보바이러스 - 예방과 치료방법 (0) | 2023.06.07 |
반려견 분리불안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0) | 2023.06.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