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5 권총, 대한민국 최초의 현대적 자동권총 / 혁신과 논란의 K5 권총

독거청년 2025. 3. 28.
반응형

K5 권총은 대한민국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최초의 현대적인 자동권총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한국인의 손에 맞는 권총'을 목표로 탄생한 이 총기는 독특한 '트리플 액션' 시스템을 비롯한 혁신적인 시도를 담고 있지만, 동시에 명중률, 품질 관리, 그리고 실효성에 대한 끊임없는 논란의 중심에 서 있기도 합니다. K5 권총의 탄생부터 현재까지의 이야기를 더욱 깊숙이 파헤쳐 보겠습니다.

 

K5 권총 이미지
섬네일

 

K5 권총 개요

대한민국의 군수업체 SNT모티브의 전신인 대우정밀공업이 1984년부터 개발한 9 mm 구경 자동권총입니다.

 

1989년에 완성되었으며, 대한민국 국군의 제식 권총으로 대한민국 국군 군사경찰/특수임무대, 육군항공 헬기조종사, 전차 승무원, 자주포 조종수, 특전사 대원, 공동경비구역 경비대원, 군의관, 수의사관, 영관급 장교, 군법무관, 간호장교, 주임원사가 주로 사용하는 권총입니다.

 

장성급 장교가 되면 이 총을 사용하지 않고 리볼버인 S&W M10, 콜트 리볼버를 사용합니다.

 

군종장교도 K5 권총을 지급받지만 명목상, 서류상으로만 지급받는다고 되어 있으며, 훈련이나 실제 사용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합니다.

K5
SNT Motiv K5
SNT모티브 K5
K5 권총 1세대, 2세대 사진
종류  자동권총
원산지  대한민국
이력
역사  1989~현재
생산  SNT모티브
 라이언하트
생산년도  1989~현재
사용국  대한민국
 과테말라
 방글라데시
 싱가포르
 북마케도니아
 인도네시아
기종
파생형  DP51
 DP51S
 DP51C
 DH4
 DH45
 LH-9
 LH-9C
 LH-9 MK II
 Regulus
 Vulcan
제원
탄약  9×19mm 파라벨룸
급탄 12발들이 탄창 (한국군용 K5)
13발들이 탄창 (민수용 DP51 &LH9)
15발들이 S&W M5906  탄창 (한국군 K5랑 호환됨)
10, 18발들이 탄창(민수용 REGULUS - 원본과 호환 여부는 불명)
작동방식  싱글 액션더블 액션, 패스트 액션
총열길이  105mm (K5, DP51, DP51 MK II)
 92mm (DP51C)
 93mm (DP51S)
전장  191mm (K5, DP51, DP51 MK II)
 178mm (DP51C, DP51S)
전고  125mm
전폭  33.5mm
중량  734g (K5)
 728g (DP51)
 751g (DP51 MK II)
 686g (DP51C)
 665g (DP51S)
유효사거리  50m

K5 권총 분해 사진
K5 권총 분해 사진

 

 

 

자주국방의 염원, K5 권총 개발의 서막

6.25 전쟁 이후 대한민국 국군은 미군으로부터 공여받은 M1911A1 거버먼트 권총에 의존해 왔습니다.

 

80년 가까이 미군의 주력 권총으로 활약한 명총이지만, 45 구경 탄환의 강력한 반동은 한국인의 체형에 다소 부담스러웠고, 오랜 사용으로 인한 노후화와 부품 수급의 어려움은 새로운 국산 권총 개발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만들었습니다.

 

1980년대 초, 대한민국 국군은 현대화 계획의 일환으로 한국인의 체형에 적합하고, 9mm 파라벨룸 탄환을 사용하는 새로운 제식 권총 개발을 결정합니다.

이에 따라 국방과학연구소(ADD)와 당시 국내 유일의 총기 제조업체였던 대우정밀공업(S&T 모티브)이 주축이 되어 K5 권총 개발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미 K1 기관단총과 K2 소총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끈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진들은 브라우닝 하이파워, 스미스 & 웨슨 M39 등 당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명총들의 장점을 벤치마킹하며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4년간의 연구 개발 끝에 K5 권총은 1988년 완성되었고, 19899월부터 대한민국 국군의 제식 권총으로 정식 채택되어 'K' 시리즈의 다섯 번째 국산 총기임을 알리는 'K5'라는 이름을 얻게 됩니다.

 

 

K5권총 사진 1
K5권총 사진 1

 

혁신적인 시도인가, 불필요한 복잡성인가? '트리플 액션' 시스템 심층 분석

K5 권총의 가장 큰 특징이자, 이 총기에 대한 평가가 극명하게 갈리는 핵심 요소는 바로 '트리플 액션' 혹은 '패스트 액션'으로 불리는 독특한 격발 방식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단동식(SA)과 복동식(DA)의 장점을 융합하여 초탄 명중률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려는 혁신적인 시도였지만, 결과적으로는 복잡한 구조와 함께 실효성에 대한 의문 부호를 남겼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패스트액션 작동 방식 이미지
패스트액션 작동 방식 이미지

1) 트리플 액션의 작동 메커니즘

K5 권총의 트리플 액션 시스템은 해머를 코킹 한 상태에서 디코킹 레버를 조작하면 해머는 안전하게 내려가지만, 내부의 스프링 장치는 여전히 코킹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상태에서 방아쇠를 당기면 일반적인 더블 액션처럼 방아쇠가 길게 움직이지만, 내부적으로는 이미 코킹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싱글 액션과 유사하게 비교적 가벼운 방아쇠 압력으로 첫 발 사격이 가능합니다.

 

 

2) 개발 의도와 이론적 장점

개발자들은 트리플 액션 시스템을 통해 첫 발 사격 시 더블 액션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싱글 액션의 가벼운 방아쇠 압력을 통해 명중률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 오발 가능성을 줄이면서도 정확한 초탄을 발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3) 현실적인 한계와 비판

복잡한 내부 구조

- 트리플 액션 시스템은 일반적인 자동권총에 비해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가 어렵습니다.

- 이로 인한 고장 발생이 높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었습니다.

 

모호한 방아쇠 압력

- 일부 사용자들은 트리플 액션 상태에서도 방아쇠 압력이 여전히 무겁게 느껴지거나, 방아쇠를 당기는 거리가 길어 오히려 명중률을 저해한다고 비판합니다.

- 이론적인 장점과는 달리 실제 사격 시 체감하기 어렵다는 의견입니다.

 

싱글 액션의 부재

- 숙련된 사수들은 상황에 따라 싱글 액션으로 빠르게 사격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K5 권총은 트리플 액션 외에 순수한 싱글 액션 모드를 제공하지 않아 아쉬움을 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스트라이커 방식의 대세

- 현대 자동권총 시장은 방아쇠를 당기는 힘만으로 발사가 가능한 스트라이커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습니다.

- 이러한 스트라이커 방식은 미리 해머를 코킹 할 필요 없이 매번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방아쇠 압력을 제공하므로, 트리플 액션의 복잡성과 잠재적인 단점이 더욱 부각되는 측면이 있습니다.

 

 

K5권총 사격 사진 1
K5권총 사격 사진 1

 

명중률 논란부터 품질 관리 문제, K5 권총의 그림자

K5 권총은 독특한 격발 방식 외에도 다양한 문제점들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K5 권총이 명실상부한 명품 국산 권총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명중률 논란

- 패스트액션 작동 방식 이미지초기 생산된 K5 권총의 명중률이 좋지 않다는 불만은 군 내부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었습니다.

- 이는 후기 생산품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졌으며, K5 권총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 명중률 저하의 원인이 제조 과정의 문제인지, 설계상의 결함인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K5 권총의 정확성에 의문을 표했습니다.

 

품질 관리 문제

- 일부 사용자들은 K5 권총에서 탄 걸림() 현상이 자주 발생하거나, 유난히 명중률이 떨어지는 개체가 존재한다고 보고했습니다.

- 이는 생산 과정에서의 품질 관리 문제점을 시사하며, 한국산 군용 총기에 대한 신뢰도 하락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미흡한 마감 처리

- 특히 한국군에 보급된 K5 권총의 마감 처리가 가격대에 비해 좋지 않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 슬라이드 서레이션의 날카롭지 못함이나 거친 표면 처리 등이 지적되었으며, 이는 사용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 수출형 모델인 LH9조차 일부 부분에서 마감의 아쉬움이 있다는 평가가 있었습니다.

 

인체공학적 아쉬움

- K5 권총의 크기는 서방권 풀사이즈 권총보다 약간 작지만, 일부 사용자들은 그립감이 편안하지 않다고 지적합니다.

- 또한 해머 격발 방식의 특성상 총열 축선이 높아 연사 시 반동 제어가 어렵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노출된 해머는 휴대 과정에서 옷이나 장비에 걸리는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방아쇠 작동감 불만

- 트리플 액션 시스템의 복잡성 때문인지, K5 권총의 방아쇠 작동감이 좋지 않다는 평가는 매우 일반적입니다.

- 뻑뻑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운 방아쇠 작동감은 사격 시 명중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제한적인 보급과 훈련 부족

- K5 권총은 대한민국 국군 내에서도 모든 병사에게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장교, 군사경찰 특수임무대, 전차병, 특수전 요원 등 특정 직책의 인원에게만 제한적으로 지급됩니다.

- 또한, 권총 사격 훈련 시간과 실탄 사격 기회가 부족하여 사용자들이 K5 권총에 충분히 숙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는 K5 권총의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K5권총 사격 사진 2
K5권총 사격 사진 2

 

K5 권총의 수출 역사

K5 권총은 1990년대부터 'DP51'이라는 이름으로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수출을 시도했습니다.

 

당시 미국 시장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과 독특한 패스트 액션 시스템에 대한 기대감으로 나름대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지만, 강력한 현지 유통망 부족과 브랜드 인지도 부족으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습니다.

 

킴버(Kimber)와 같은 유명 총기 제조업체도 한때 DP51을 수입하기도 했습니다.

 

2011년에는 미국의 신생 총기 회사인 라이언하트 인더스트리(Lionheart Industries)와 협력하여 K5 권총을 현대적으로 개량한 'LH9'을 선보이며 미국 시장에 재도전을 시도했습니다.

 

LH9은 세라코트 코팅, 인체공학적 디자인 개선, 15발 탄창 옵션 등 현대적인 트렌드를 반영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기존 DP51에 비해 높은 가격으로 인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는 못했습니다.

 

결국 LH9은 단종되었고, 현재 라이언하트 인더스트리에서는 LH9을 기반으로 설계된 모듈식 권총인 RegulusVulcan 시리즈를 판매하고 있지만, 여전히 높은 가격으로 인해 시장에서 널리 판매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K5 권총은 과테말라, 방글라데시, 싱가포르, 북마케도니아, 인도네시아 등 일부 국가에 수출되기도 했지만, 서방권의 주류 권총들과 경쟁하기에는 여러 면에서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KSPW 한국형 코너샷

K5 권총은 특수한 목적을 위해 변형되기도 했습니다.

KSPW(Korea Special Purpose Weapon) 한국형 코너샷 사진 1
KSPW(Korea Special Purpose Weapon) 한국형 코너샷 사진 1
KSPW(Korea Special Purpose Weapon) 한국형 코너샷 사진 2
KSPW(Korea Special Purpose Weapon) 한국형 코너샷 사진2

2010ADD에서 개발한 KSPW(Korea Special Purpose Weapon) 한국형 코너샷은 K5 권총을 기반으로 제작된 것으로, 총열과 카메라를 좌우로 60도씩 회전시켜 엄폐된 상태에서 안전하게 사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특수 장비입니다.

 

이는 대한민국 특수부대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라크군에도 수출되는 등 제한적이지만 그 성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대중 문화 속 K5 권총

K5 권총은 다양한 대중 매체에 등장하며 일반 대중에게도 인지도를 높였습니다.

 

'레인보우 식스: 테이크다운', '블랙스쿼드', '포인트 블랭크', '소녀전선'과 같은 인기 게임은 물론, 영화 'GP506', 애니메이션 '불꽃 소방대', 웹툰 '하이브', 예능 프로그램 '진짜 사나이'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K5 권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아카데미과학에서는 2014년부터 K5 권총의 에어소프트건 모델을 출시하여 현재까지 전 세계에서 유일한 K5 에어소프트건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비록 퀄리티에 대한 아쉬움은 있지만, 해외 수요가 거의 없는 K5 권총을 제품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후 아카데미과학은 LH9 에어소프트건 모델을 출시하기도 했으며, 전동 핸드건 모델을 선보이기도 했습니다.

 

2025년에는 마크스맨에서 K5 GBB (Gas Blowback) 모델의 발매를 예고하기도 했습니다.

아카데미 과학에서 출시한 K5전동건
아카데미 과학에서 출시한 K5전동건

 

 

 

 

글을 마치며

K5 권총은 대한민국이 자체 기술로 개발한 최초의 현대적인 자동권총이라는 빛나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독특한 트리플 액션 시스템은 혁신적인 시도였지만, 현실적인 성능과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는 아쉬움을 남긴 것도 사실입니다.

 

명중률 논란, 품질 관리 문제, 그리고 현대적인 권총 트렌드와의 괴리는 K5 권총이 넘어야 할 숙제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5 권총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력과 경험은 대한민국 총기 산업 발전에 소중한 자산이 되었을 것입니다.

 

앞으로 대한민국은 K5 권총의 성공과 실패를 발판 삼아 더욱 발전된 명품 총기를 개발해 낼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대한민국 국군 국산 장비 목록 / 대한민국 자체 무기 목록

개요대한민국에서 자체 개발한 장비를 열거한 목록입니다.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특징• 대부분 K (Korea) 시리즈 명칭을 사용합니다. • 자체 개발, 외국 무기 카피, 면허 생

mandpupp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