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주의해야 할 강아지 온열질환 / 반려견 여름 질환
반려견에게 더 힘든 여름
무덥고 습한 여름, 사람도 견디기 힘들지만 우리의 아이들은 사람보다 더 힘든 시간을 보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피부가 털로 덮혀 있고 땀 구멍이 없기 때문에 체온 조절이 사람만큼 용이하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여름철 우리 아이들이 겪을 수 있는 온열질환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탈수증상
높아진 체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이 탈수 증상입니다.
탈수 증상은 수분 부족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체온이 상승하고 아이에게 식욕감퇴, 가쁜 호흡, 기력 약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탈수 증상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나 탈수 증상은 심각해지면 생명에 매우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 거주환경의 온도를 최대한 신경 써서 관리해 주고 늘 신선하고 시원한 물을 공급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탈수 증상의 경우 시원한 물을 제때에 공급해 주는 것만으로도 상당 부분 증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냉방병
탈수 증상과 반대되는 개념의 질환으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강아지들에게 흔하기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보통 냉방병 하면 체온이 하락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강아지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오히려 반대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냉방병은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클 경우 발생할 위험이 높은 질병입니다.
낮은 온도의 실내에서 생활하다가 외부의 높은 온도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고 낮은 실내의 온도 때문에 강아지 스스로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체온을 높이는 과정에서 몸에 무리가 가서 냉방병에 걸리기도 합니다.
특히 냉방병이 심해지게 되면 폐렴 등의 호흡기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 너무 낮은 온도로 생활하시는 것보다는 적당한 온도를 설정해 주시고 자주 외부 공기를 유입해서 바깥 온도와 너무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특히 산책 전후로 에어컨 가동을 줄이고 외부의 더운 공기를 유입해서 최대한 급격한 온도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냉방병을 예방해 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냉방병으로 인한 감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바로 동물 병원에 내원하셔서 치료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열사병
강아지의 체온이 40도~41도 이상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강아지 신체 장기들이 손상을 받게 되는 매우 무서운 여름철 질환입니다.
강아지 뇌의 시상하부에서 체온을 일정하게 조절하는데 지속적으로 높은 온도의 열로 인해서 급격한 체온 상승 시 시상하부의 조절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신체 장기들이 높아진 체온으로 손상이 진행되는 질병입니다.
냉방병이나 감기로 인해 발생하는 열과 열사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은 그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감기나 냉방병으로 인한 경우 강아지 신체에 들어온 감기 바이러스나 과도하게 낮은 실내 온도에 대응하기 위해서 강아지 신체가 스스로 열을 내게 되지만 열사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체온 상승은 뇌의 시상하부에서 체온을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체온이 상승하게 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즉 온도 조절 중추의 장애로 다발성 장기 손상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응급상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특히 응급상황에서 제대로 대처하지 못할 경우 다발성 장기 손상으로 인한 영구장애가 나타날 수 있고 무지개다리를 건널 만큼 생명유지에 치명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발바닥 화상
달궈진 아스팔트, 보도블록, 시멘트 바닥은 강아지의 발바닥에 화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특히 한낮의 뜨거운 열기로 달궈진 아스팔트의 경우 최대 90도까지, 보도블록은 50도, 시멘트 바닥은 60도까지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강아지가 산책 중 화상을 입게 된다면 보행을 어려워하거나 거부하고 발을 지속적으로 핥는 행동을 하게 됩니다.
특히 화상이 심해지면 발바닥이 붉어지거나 물집이 잡히고 심한 경우 발바닥 피부가 벗겨지는 증상을 보입니다.
그래서 대부분 보호자의 경우 여름철 산책을 한낮보다는 저녁에 하는 경우가 많은데 해가 진 뒤에서 바닥의 온도는 많이 떨어지지 않고 복사열을 방출하게 됩니다.
아무래도 사람보다 작고 키가 낮은 강아지들은 이런 복사열에 노출이 되기 때문에 해가 진 뒤 저녁이어도 산책하기 좋은 환경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여름에는 되도록 아침 일찍 산책을 진행하는 것이 좋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되도록 아스팔트, 보도블록, 시멘트 길동의 도심환경에서 산책을 하는 것보다는 흙길, 잔디밭 등이 깔려있는 공원 등에서 산책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견종 백과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웰시코기 성격과 특징, 종류 및 주의사항 (0) | 2023.07.06 |
---|---|
국제애견협회(FCI)의 실체와 FCI견종분류 (0) | 2023.07.02 |
셰틀랜드 쉽독(셸티) - 외모, 성격및 특징, 유전병, 키우기전 주의사항 (0) | 2023.07.01 |
도베르만 핀셔 / 역사, 외모, 성격및 특징, 질병, 키우기전 유의점, 분양비용 (0) | 2023.06.29 |
저먼 셰퍼드 기르기전 (역사, 외모, 성격, 특징, 질병, 기르기전 유의사항) (0) | 2023.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