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압선 전자파와 건강: 암 발병 위험, 노출 범위, 안전 정보

독거청년 2025. 2. 15.
반응형

고압선 주변에 거주하는 것은 건강에 위험할까요? 특히 암 발병과 관련된 우려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고압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노출범위 설정 방안" 보고서의 내용을 기반으로, 고압선 전자파와 건강, 특히 암 발병 위험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요약정리했습니다.

 

고압선 사진을 이용한 섬네일
섬네일

고압선 전자파, 정말 건강에 위험할까?

고압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극저주파 자기장(ELF-MF)’은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암연구소(IARC) 역시 극저주파 자기장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며, 관련 연구와 안전 대책 마련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압선 전자파와 건강 영향 간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고압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노출범위 설정 방안" 보고서를 포함한 국내외 연구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건강 염려에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건강,  암 발병 위험

"고압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노출범위 설정 방안" 보고서 및 관련 연구들은 고압선 주변 지역 거주민에게서 다음과 같은 암 발병 위험 증가 가능성을 제기합니다.

 

소아 백혈병

- 고압선 40m 이내 거주 어린이의 소아 백혈병 발병 위험이 일반 지역에 비해 2-3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 이는 극저주파 자기장 노출과 소아 백혈병 간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중요한 증거로 제시됩니다.

 

성인 암

- 154kV 345kV 송전선로 주변 지역 주민 대상 역학 조사 결과, 다른 지역에 비해 암 발병 위험도가 남성은 1.26, 여성은 1.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구체적인 암 종류는 명시되지 않았지만, 보고서는 백혈병, 뇌종양, 유방암 등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보고서

- 산업통상자원부 용역 보고서 역시 특정 전압의 송전선로 주변 지역 암 발병 위험 증가 가능성을 언급하며, 정부 차원에서도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극저주파 자기장 (ELF-MF)과 발암 가능성

국제암연구소(IARC)는 극저주파 자기장을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 (Group 2B)'으로 분류합니다.

 

이는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지만, 발암 증거가 "제한적"이며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함께 나타냅니다.

 

, 극저주파 자기장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확실한 인과 관계는 아직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더 많은 연구와 과학적 증거 축적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고압선 전자파 노출 범위 및 안전 거리

"고압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노출범위 설정 방안" 보고서는 WHO의 사전 예방 정책과 국제적으로 엄격한 자기장 노출 권고치 4mG (밀리가우스)를 기준으로, 주거지 전자파 노출 영향 범위를 제시합니다.

 

154kV 고압 송전선로: 30 ~ 55m

 

345kV 고압 송전선로: 70 ~ 90m

 

이 범위는 해당 송전선로에서 4mG 이상의 자기장에 노출될 수 있는 예상 거리입니다.

 

따라서 보고서는 택지 개발 계획 시, 주거 지역을 고압선으로부터 최대한 이격하여 배치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하지만 이 수치는 절대적인 안전 거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자파 노출량은 송전선로의 전압, 전류, 지형 조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개인의 건강 상태나 생활 습관 역시 건강 영향에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국제적인 안전 기준 및 정책 동향

세계 각국은 고압선 전자파의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인지하고, 다양한 안전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사전 예방 정책

- 네덜란드, 스위스 등 유럽 국가들은 주거 지역을 전자파 발생원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뜨리는 사전 예방 원칙을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 이는 잠재적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입니다.

 

WHO의 권고

- WHO는 각국 정부에 전자파 노출 저감 대책 마련을 권고하며, 장기적인 노출에 대한 주의를 강조합니다.

 

국내 연구 보고서

- "고압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노출범위 설정 방안" 보고서는 국내 현실에 맞는 전자파 안전 관리 정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 154kV 345kV 송전선로의 주거지 영향 범위 제시 (154kV: 30-55m, 345kV: 70-90m).

- 택지 개발 사업 시 전자파 노출 저감 대책 (이격 거리 확보, 지중화, 자계 저감 기술 등) 제시

 

 

 

 

 

국내 실정에 맞는 전자파 노출 기준 및 가이드라인 구축 필요성

고압선 전자파 관련 건강 염려,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고압선 주변 거주로 인한 건강 염려가 있다면, 다음 사항들을 고려하여 대처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노력

- 고압선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진 곳에 거주지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집 안에서는 전자파 발생 가전제품과의 거리를 확보하고, 불필요한 전자 제품 사용을 줄이는 노력을 할 수 있습니다.

 

정부 및 관련 기관의 역할

- 정부는 과학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전자파 안전 기준 및 관리 정책을 마련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합니다.

- 지자체는 도시 계획 수립 시 고압선 주변 지역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결론 및 추가 정보

고압선 전자파와 건강, 특히 암 발병 위험 간의 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지만, 잠재적인 위험 가능성은 존재합니다.

 

"고압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노출범위 설정 방안" 보고서는 국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한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다음 자료들을 참고하십시오.

 

• ScienceON: [보고서]고압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노출범위 설정 방안:  

https://www.google.com/url?sa=E&source=gmail&q=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800044169

 

 

• 국가암정보센터 - 전자장 노출과 암발생의 이해 

https://cancer.go.kr/lay1/bbs/S1T610C611/A/31/view.do?article_seq=15005&cpage=24&rows=10&condition=&keyword=&rn=236

 

 

• [국가R&D연구보고서] 고압송전선로 전자파에 대한 노출범위 설정 방안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Report.do?cn=TRKO201800044169

 

 

•  WHO - 전자기계 

https://www.who.int/teams/environment-climate-change-and-health/radiation-and-health/electromagnetic-fields

반응형

댓글